2013년 06월 18일
기적의 튜즈데이
![]() | 기적의 튜즈데이 조영학, 루이스 카를로스 몬탈반(Luis Carlos Montalvan), 브렛 위터(Bret Witter) | 쌤앤파커스 | 20130528 평점 ![]() ![]() ![]() ![]() ![]() 상세내용보기 | 리뷰 더 보기 | 관련 테마보기 |
우리는 2005년 3월, 바그다드 남부로 파병되었다. (112쪽) 저자는 이라크로 파병, 미국 군인임에 자부심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었다. 읽는동안 전쟁터에 내몰린듯한 느낌을 받았다. 저자 역시 불길한 예감과 함께 테러를 당하고 말았다. 그로 인해서 삶이 달라졌다. 그뿐만 아니라 자긍심으로 시작했던 일이 때론 잘못된 것인지도 모르는 현실. 일상생활이 지속될 수 있으리라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외상 후 스트레스로 인해서 심적으로도 힘들었지만 머리가 찢어질듯한 아픔이 그를 더 심한 고통속으로 몰아 넣었다. 대인공포증까지 심해지면서 혼자만의 생활이 어려워졌고 그때 튜즈데이를 만나게 되었다.
전쟁은 그런 것이다. 추악하고 폭력적이며 끝내는 깊은 상처를 남긴다. (325쪽) 병원에서의 치료 또한 그를 힘들게 만들었다. 그들은 환자를 위한 치료를 시작한것이 아닌 의무적인 치료만 했을 뿐이고 그의 상처따위에는 안중에도 없었다. 그런 그를 튜즈데이는 감싸안아 주었다. 곁에서 부비부비 해주고 핥아 주고 따스한 체온을 나누어 주었다. 이라크 파병 그리고 잘못에 대한 폭로때문에 저자가 책을 쓰는 것을 아무도 원치 않았다고 한다. 그는 용기를 내서 책을 쓰기로 했다. 하지만 잘못, 그리고 폭로는 어떤 의미인지 잘 모르겠다.
<기적의 튜즈데이 책표지>
그를 고통속에서 삶의 빛을 보게 만들어 준 튜즈데이, 그녀석이 있었기 때문이다. 책표지에서 멋지게 나온 녀석이 튜즈데이다. 책 제목은 <기적의 튜즈데이>다. 그녀석이 저자에게 기적을 가져다 주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튜즈데이의 상처받은 이야기가 나오고 그다음부터는 저자가 겪은 전쟁에 대해서 나온다. 한 남자의 운명을 바꾼 골든 리트리버의 감동적인 실화 이야기가 이 책의 큰 맥락으로 보였다. 읽고 난 다음에는 그것이 다는 아니였지만 말이다.
전쟁이 가져다 준 참혹한 저자의 이야기였다. 이책을 읽기가 쉽지 않았다. 전쟁에 대한 참혹함과 저자가 받은 고통에 대한 이야기, 책을 제대로 쓸 수 조차 없을 정도의 극심한 두통때문인지 몰라도 집중하기에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언제 죽을지도 모르는 전쟁터에서 살아 남았고 지인들의 죽음을 보아야만 했고 자신의 모습은 피폐해져있었다. 자신이 속한 부대의 결정으로 인해 무고한 사람들이 죽었는지도 모른다는 자책감으로 악몽을 꾸기도 해야 했다. 제정신으로 살아갈 수 없을 것 같다. 읽으면서 가족들이 좀 무심한게 아닐까 혹은 저자의 마음이 황폐해져 있는 걸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가족들이 느낄 혼란을 무시했는지도 모르겠다. 전쟁 전과 후의 달라진 아들의 모습에 힘들지 않을 부모는 거의 없을 테니까 말이다.
가끔 울리는 전화벨 소리에 소스라치게 놀라곤 한다. 전화에 대한 좋지 않은 기억이 있다. 그런 기억만으로도 전화벨 소리를 싫어하는데 전쟁에서 돌아온 사람들은 무언가가 펑 터지거나 그런 현상이 일어나지 않더라도 머릿속에서 전쟁이 계속해서 재현되고 있는지 모른다. 전쟁이 세상에서 사라져 버렸으면 좋겠다. 전쟁이 사라지면 고통의 수렁에 빠질 무언가가 또 다시 나타날지 모르겠지만 한번 이세상에서 사라져 줄래. 전쟁을 일으킨 인간들과 함께.
<쌤앤파커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았습니다.> |
이글은 "인터파크도서"에서 작성되었습니다.
# by | 2013/06/18 23:21 | 트랙백 | 덧글(0)